[한국어] 부정법 완벽정리(3) ‘말다‘ 부정법
‘말다' 부정법
이 부정법은 동사어간에 표현 ‘-지 말다’를 붙여 부정문을 만드는 방법을 말합니다. 앞의 두 부정법(’안‘ 부정법, ’못‘ 부정법)이 평서문과 의문문에만 적용되는데 반해 '말다’ 부정법은 명령문과 청유문을 부정할 때 쓰입니다.
[한국어] 부정법 완벽 정리(1) ‘안’ 부정법
[한국어] 부정법 완벽 정리(2) ‘못’ 부정법
1) ‘말다‘는 일반적으로 ‘그만두다, 중지하다, 또는 금하다’라는 뜻을 가진 단어 입니다. 부정 요소로서 ‘말다’는 평서문 부정요소인 ’안’과 ‘-지 않다’가 명령문과 청유문으로 바뀔 때 나타나는 일종의 변이 부정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이때 명령문과 청유문에 나타나는 ‘-지 말다’는 말하는 사람의 의도나 의지를 담고 있으 므로 어떤 행위를 할 수 없다는 의미를 갖는 ’못’과 ‘-지 못하다’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1-1) 영화를 보아라.
1-2) 영화를 보지 마라.
1-3) 오늘은 축구를 하자.
1-4) 오늘은 축구를 하지 말자.
2) ‘-지 말다’는 명령문과 청유문에서만 가능하므로 명령문과 청유문의 서술어가 될 수 없는 형용사나 ‘명사-이다‘와는 함께 쓰여 부정문을 만들 수 없습니다.
2-1) 봉선이는 예쁘지 마라. (x)
2-2) 우리 멋지지 말자. (x)
2-3) 너는 형이지 마라. (x)
2-4) 우리 군인이지 말자. (x)
3) ‘명사-하다’가 서술어인 긍정문도 ‘명사-하다’의 ‘하’에 ’-지 말다‘를 붙여 부정문을 만듭니다.
3-1) 재석아, 세종시로 이사해라.
3-2) 재석아, 세종시로 이사하지 마라.
3-3) 호동아, 우리 영어를 공부하자.
3-4) 호동아, 우리 영어를 공부하지 말자.
4) 다음과 같이 시제를 나타내는 ’-았-/-었-/-였-‘, ’-겠-‘, ’-더-’ 등이 서술어에 붙어 있으면 ’-지 말다‘를 붙여 부정문을 만들 수 없습니다.
4-1) 영철아, 복숭아를 먹었지 마라. (x)
4-2) 수근아, 참외를 먹겠지 마라. (x)
4-3) 상훈아, 포도를 먹더지 마라. (x)
5) 주체 높임을 나타내는 ’-(으)시-‘가 서술어에 붙어 있는 경우 ’-지 말다‘는 보통 ’-지 마세요‘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는 공손하게 명령하거나 금지시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5-1) 할아버지, 낚시터로 가시지 마세요.
5-2) 할머니, 오후에는 커피를 드시지 마세요.
* ’안‘ 부정과 ’못‘ 부정은 평서문과 의문문일 때만 가능하고 청유문이나 명령문일 때는 불가능한 데 반해, ’말다‘ 부정은 평서문과 의문문일 때는 불가능하고 청유문과 명령문일 때만 가능합니다.
* 서술어가 ’있다‘나 ’알다‘인 경우 대체로 ’안’ 부정문이나 ‘못’ 부정문은 불가능합니다. 이 경우는 ‘있다’와 ‘알다’의 반대말인 ‘없다’나 ‘모르다’를 써서 부정문을 만듭니다.
- 나는 돈이 있다.
- 나는 돈이 안/못 있다. (x)
- 나는 돈이 없다.
- 나는 너가 하는 말의 뜻을 안다.
- 나는 너가 하는 말의 뜻을 안/못 안다. (x)
- 나는 너가 하는 말의 뜻을 모른다.
[한국어] 빈도부사
[한국어] 높임의 뜻이 있는 여러 말들
[한국어] 문법 특징 중 하나 (존칭어 관련)
[한국어] 문장 종류의 모든 것
[한국어] 평서문의 모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