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earning languages/Korean

[한국어] ‘-고 나다’ 표현 사용법

by 잡학만담 2024. 6. 14.
반응형

분류: 표현
특징: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를 끝내고 다른 행위를 하거나 어떤 상황이 일어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어미 ‘-고’와 동사 ‘나다’가 함께 쓰입니다.



용법:
1) 어떤 행위를 끝낸 다음에 다른 행위를 하거나 어떤 상황이 발생하게 되었음을 나타냅니다.
1-1) 재석이가 가고 난 뒤 촬영장은 침묵만이 가득했다.
1-2) 결혼식이 끝나고 나서야 밥을 먹을 수 있겠다.
1-3) 과제를 하고 나서 영화 보러 가자.
1-4) 이번 눈이 그치고 나면 본격적으로 추위가 시작될 것이다.

2) (‘-고 나니‘ 구성으로 쓰여) 어떤 행위가 일어나기 전에는 몰랐는데 행위를 하고 난 후 혹은 그 결과로 뒤에 오는 내용을 깨닫게 되었을 때 사용합니다.
2-1) 이 이야기를 건너 건너 듣고 나니 기분이 상당히 나쁜 걸!
2-2) 하루 종일 땀흘려 일을 하고 나니 보람이 있었다.
2-3) 잔뜩 먹고 나니 졸음이 쏟아졌다.
2-4) 차를 멈추고 나니 사고가 났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한국어] 보어의 모든 것

[한국어] 보어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어 문법 문장성분 중 마지막인 보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참, 앞서 살펴보았던 문장성분 포스팅이 궁금하시면, 아래 바로가기 링크로 살펴보시길 바랍니다.[한국어]

creativenote.tistory.com

[한국어] 다섯가지 기본문형

[한국어] 다섯가지 기본문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어 기본문형에 대한 문법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한국어의 기본문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한국어의 기본문형은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creativenote.tistory.com



* 심화
1) 용법 2)와 비슷한 표현으로는 ’-고 보다‘가 있습니다.
1-1) 알고 보니 그 집 사정도 딱하더군요.
1-2) 그 집 사연을 다 듣고 보니 일이 이렇게 된 이유를 알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