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 languages528 [한국어] ‘-소‘ 아랫사람이나 동등한 관계의 상대방을 대접하여 진술, 의문, 명령할 때 분류: 종결어미특징: 아랫사람이나 동등한 관계의 상대방을 대접하여 진술, 의문, 명령할 때 쓰는 어미용법:1. (받침 있는 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았, -겠’ 뒤에 붙어) 어떤 상황이나 자신의 생각에 대해 진술할 때 쓴다. 1-1) 나는 요즘 ‘공자’라는 책을 읽소. 1-2) 이 강이 참 깊소. 1-3) 여보, 나 다녀왔소. 1-4) 나도 그렇게 알고 있겠소.2. (받침 있는 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았, -겠’ 뒤에 붙어) 어떤 상황이나 궁금한 내용에 대해 물을 때 쓴다. 2-1) 도대체 진리란 무엇인 것 같소? 2-2) 아이가 밥은 잘 먹소? 2-3) 책을 읽겠소? 2-4) 어제 그분을 만났소?3. (받침 없는 동사 어간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에 붙어) 어떤 행위를 할.. 2025. 4. 3. [한국어] ‘-서’ 문장의 주어임을 나타내는 조사 분류: 조사특징: 문장의 주어임을 나타내는 조사용법:1. (‘혼자’, 둘이’, 셋이’, ‘넷이' 등 사람의 수를 나타내는 받침 없는 말에 붙어) 그 앞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며 그 수를 강조할 때 쓴다. 1-1) 우리들 셋이서 함께 독일어를 공부했어요. 1-2) 우리 둘이서 청소할게요. 어머니는쉬세요. 1-3) 수박을 여럿이서 맛있게 먹었어요. 1-4) 혼자서 식사하니 밥맛이 없네 . 1-5) 돈을 줄테니 네 명이서 잘 나누어 써라. 1-6) 우리들 셋이 함께 독일어를 공부했어요. 1-7) 우리 둘이 청소할게요. 어머니는 쉬세요. 1-8) 수박을 여럿이 맛있게 먹었어요. 1-9) 혼자 식사하니 밥맛이 없네. 1-10) 돈을 줄 테니 네 명이 잘 나누어 써라. 2025. 4. 3. [한국어] ‘-뿐’ 앞말이 유일함을 나타내는 조사 분류: 조사특징: 명사나 일부 조사 뒤에 붙어 앞말이 유일함을 나타내는 조사용법:1. ('뿐이다’의 꼴로 쓰여) 다른 것은 없거나 아니고 오직 앞말만이 있거나 그러함을 나타낸다. 1-1) 내가 사랑하는 사람은 너뿐이야. 1-2) 엄마는 오늘 하루 종일 네 걱정뿐이었다. 1-3) 제가 할 수 있는 외국어는 영어뿐입니다.2. (주로 ‘-뿐(만)아니라’의 구성으로 쓰여) 앞말 말고도 다른 것이 더 있음을 나타낸다. 2-1) 그 소식을 듣고 그의 가족뿐만 아니라 동네 사람들까지 기뻐했다. 2-2) 남대문 시장은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유명하다. 2-3) 재석이는 명수에게뿐 아니라 준하에게도 소중한 사람이에요. 2-4) 자고 싶은 사람은 너뿐 아니다.* 심화1. ‘-뿐’과 비슷한 의미를 가지는 조사.. 2025. 3. 31. [한국어] ‘-부터‘ 어떤 동작이나 상태 또는 순서나 서열의 시작임을 나타내는 조사 분류: 조사특징: 명사나 부아어에 붙어 어떤 동작이나 상태 또는 순서나 서열의 시작임을 나타내는 조사용법:1.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시작되는 지점임을 나타낸다. 1-1) 4월부터 기름값이 오른다고 한다. 1-2) 한국에서는 만 18세부터 술을 마실 수 있다. 1-3) 오늘부터 일기를 쓰기로 결심했다. 1-4) 이번 시험은 1번 문제부터 잘 풀려 기분이 좋았다. 1-5) 선생님이 시켜 책 10쪽부터 읽었다. 1-6) 오전 8시 부터 오후 6시까지 일한다. 1-7) 점심 시간은 오후 12시부터 1시까지 였다. 1-8) 그 연극은 며칠부터 며칠까지 합니까? 1-9) 문제가 1번부터 5번까지는 어려웠는데 6번부터 끝까지는 쉬웠어요. 1-10) 5쪽부터 200쪽까지 시험 범위이다.2. 행위의 순서상 제일 먼저.. 2025. 3. 31. [한국어] ‘-보다‘ 비교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분류: 조사특징: (명사나 부사어에 붙어) 비교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용법:1. 앞말이 비교의 기준이 되는 대상임을 나타낸다. 1-1) 작년보다 올해가 덜 춥네. 1-2) 명수가 형 보다는 훨씬 키가 크다. 1-3) 그는 너보다 세 살 위야. 1-4) 홍 부장은 누구보다도 빠르게 승진을 했다. 1-5) 우리 아이는 집에서보다 학교에서 더 밥을 잘 먹어요. 1-6) 박 사장은 생각보다 돈을 많이 벌지 못했어. 2025. 3. 17. [한국어] ‘-보고‘ 행위의 영향이 미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분류: 조사특징: 행위의 영향이 미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용법:1. (주로 말한 내용을 인용하는 문장에서) 말을 한 대상임을 나타낸다. 1-1) 명수가 재석이보고 바보라고 했다. 1-2) 준하가 하하보고 같이 등산을 가자고 했다. 1-3) 친구가 나보고 어디에 가는지 물어봤다. 1-4) 그 말은 누구보고 하는 거야?2. 어떠한 행위를 하도록 시킴을 받는 대상임을 나타낸다. 2-1) 아이보고 담배 한 갑 사오도록 해. 2-2) 사장은 비서보고 결재 서류를 가져오게 했다. 2-3) 누가 너보고 그 일을 하라고 했어?* 결합 정보1. ‘보고’는 주로 말한 내용을 인용하는 문장에 쓰이므로 앞에서 말한 내용이 없이 단순히 ‘누구에게 말하다’는 의미만 나타낼 때는 매우 어색하게 된다. 1-1) 명수가 재석.. 2025. 3. 12. 이전 1 2 3 4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