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 languages528 [한국어] ‘-만 아니면’ 어떤 피할 수 없는 조건이나 이유임을 강조할 때 분류: 표현특징: 어떤 피할 수 없는 조건이나 이유임을 강조하는 표현용법:1. 어떤 피할 수 없는 조건이나 이유임을 강조할 때 쓴다. 즉 어떤 경우나 상황 때문에 무엇을 하거나 하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1-1) 공부만 아니면 여행을 떠날 텐데.. 1-2) 너만 아니었으면 참지 않았을 것이다. 1-3) 내가 맏이만 아니라면 어디로든 이민을 떠났을 거야. 1-4) 그녀만 아니면 나는 세상에 없을 거야. 1-5) 그만 아니면 행복할 텐데.. 2025. 3. 5. [한국어] ‘-만 같아도’ 어떤 시기나 상황을 가정함을 나태는 표현 분류: 표현특징: 어떤 시기나 상황을 가정함을 나태는 표현용법:1. 어떤 시기나 상황을 비교하여 가정할 때 쓴다. 1-1) 작년만 같아도 이렇게 힘들지 않을 텐데.. 1-2) 평일만 같아도 이렇게 복잡하지는 않을 것이다. 1-3) 옛날만 같아도 네 나이에 장가를 갔어. 1-4) 너만 같아도 내가 데려간다. 1-5) 평일만 해도 이렇게 복잡하지는 않을 것이다. 1-6) 옛날만 해도 네 나이에 장가를 갔어. 1-7) 너만 해도 내가 데려간다. 1-8) 작년만 하더라도 이렇게 힘들지 않을 텐데.. 1-9) 평일만 하더라도 이렇게 복잡하지는 않을 것이다. 1-10) 옛날만 하더라도 네 나이에 장가를 갔어. 1-11) 너만 하더라도 내가 데려간다. 2025. 3. 5. [한국어] ‘-만‘ 다른 것을 배제하고 어느 것을 한정함을 나타내는 조사 분류: 조사특징: 다른 것을 배제하고 어느 것을 한정함을 나타내는 조사용법:1. 다른 것은 전부 배제하고 유독 그것을 선택함을 나타낸다. 1-1) 준하는 하루 종일 책만 보고 있어. 1-2) 왜 너만 밥을 먹고 있니? 1-3) 명수가 봉선이 손만 잡았대. 1-4) 홍 교수님은 만년필로만 글씨를 쓰신다. 1–5) 하하는 반 아이들 중 재석이에게만 관심을 보인다.2. (수량 표현에 붙어) 그 수량을 최소로 제한함을 나타낸다. 2-1) 천 원만 내세요. 2-2) 백 원만 깎아 주시면 살게요. 2-3) 딱 한 잔만 하고 가자. 2-4) 두 판만 더 합시다.3. (주로 ‘하다, 못하다’와 함께 쓰여) 앞말이 비교의 대상임을 나타낸다. 3-1) 동생이 형만 하겠어? 3-2) 하다가 그만두면 안 하는 것만 못해... 2025. 2. 26. [한국어] ‘-마저‘ 그 명사의 내용이 포함되고 그 이상의 것이 더해질 때 분류: 조사특징: 명사에 붙어 그 명사의 내용이 포함되고 그 이상의 것이 더해질 때용법:1. 그 상황 이상의 것이 더해짐 또는 하나남은 마지막임을 나타낸다. 1-1) 너마저 나를 배신하다니… 1-2) 가족들이 먼저 저세상으로 갔는데 막내마저 올해 병으로 죽었어요. 1-3) 사업 실패로 땅마저 남의 손에 넘어갔다. 1-4) 추운데 바람마저 불었다.* 결합 정보1. ‘-마저’는 항상 부정적인 상황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긍정적인 상황에서는 ’-마저’를 쓸 수 없다. 1-1) 명수는 공부도 잘하고 노래도 잘하는데 운동마저 잘한다. (x) 1-2) 산에 가면 좋은 게 많다. 자연도 볼 수 있고 새소리도 들을 수 있으며 신선한 공기 마저 마실 수 있다. (x) 1-3) 그 사람은 피아노에 바이올린에 첼로마저.. 2025. 2. 26. [한국어] ‘-마다‘ 하나하나 빠짐없이 모두 분류: 조사특징: 명사에 붙어 하나하나 빠짐없니 모두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용법:1. 하나하나 빠짐없이 모두 비슷한 상황에 있음을 나타내거나 혹은 각 상황이 되풀이됨을 나타낸다. 1-1) 재석이는 날마다 도서관에 간다. 1-2) 가을이면 마을마다 곡식이 쌓인다. 1-3) 만나는 사람마다 명수를 칭찬했다. 1-4) 사람마다 성격이나 생김새가 다 다르다. 1-5) 부산행 고속버스는 15분마다 출발한다. 1-6) 매년 겨울방학마다 우리 가족은 여행을 갑니다.* 결합 정보1. ‘밤이면 밤마다’, ‘날이면 날마다'처럼 관용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1-1) 밤이면 밤마다 슬피우는 건 누군가? 1-2) 이런 기회가 날이면 날마다 오는 게 아닙니다. 2025. 2. 26. [한국어] ‘-마는’ 앞선 사실을 인정하면서 그와 상반되는 내용이나 그것에 붙여 다른 의견을 나타낼 때 분류: 조사특징: 앞선 사실을 인정하면서 그와 상반되는 내용이나 그것에 붙여 다른 의견을 나타낼 때용법:1. (어미 ‘-다, -냐, -더니' 뒤에 붙어) 앞의 사실을 인정을 하면서도 그에 대한 의문이나그와 어긋나는 상황 따위를 나타낼 때 쓴다. 1-1) 사고 싶다마는 돈이 부족한 걸. 1-2) 눈이 옵니다마는 쌓이지는 않겠어요. 1-3) 아이들이 하는거라 얼마나 재미있겠느냐마는 그래도 같이 가보자. 1-4) 아침에는 비가 오더니마는 지금은 눈이 온다. 1-5) 미안합니다마는 저는 같이 못 가요.* 결합 정보1. ‘-마는'은 ‘-만'으로 줄여 쓸 수 있다. 1-1) 사고 싶다만 돈이 부족한 걸. 1-2) 눈이 옵니다만 쌓이지는 않겠어요. 1-3) 아이들이 하는 거라 얼마나 재미있겠느냐만 그래도 같이 가보.. 2025. 2. 26. 이전 1 2 3 4 5 6 ··· 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