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예쁘다니3 [한국어] ‘-라니‘(2) 어떤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낼 때 분류: 종결어미특징: 어떤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낼 때용법:1. (의문문으로 쓰여) 친구나 아랫사람인 듣는 사람이 이미 들었거나 알고 있을거라 생각되는 사실에 대해 의문을 갖고 물어볼 때 쓴다. 1-1) 올 겨울은 왜 이렇게 추운 겨울이라니? 1-2) 하필 그 남자가 만나는 사람이 내 친구라니? 1-3) 재석: 부산에 갈 때 새마을호를 타고 갈까요? / 준하: 새마을호라니? 그게 뭐야? 1-4) 언니: 내일 시험 잘 봐. / 동생: 시험이라니? 무슨 시험 말이야?* 결합 정보1. ‘-라니’는 질문이나 의문을 나타내므로 말끝을 올려야 하지만 ‘-라니’는 놀람이나 감탄을 나타내거나 혼잣말에 쓰이므로 말 끝을 내려야 한다. 2025. 1. 13. [한국어] ‘-라니’(1) 어떤 사실에 대해 놀람이나 감탄 혹은 믿을 수 없음을 나타낼 때 분류: 종결어미특징: 어떤 사실에 대해 놀람이나 감탄 혹은 믿을 수 없음을 나타내는 어미용법:1. (친구 관계나 그 밖에 아주 친한 사이에서 또는 말하는 사람보다 아랫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쓰여) 뜻밖의 일이라서 놀라거나 감탄함을 나타낸다. 혼잣말로도 쓴다. 1-1) 너를 만나고 싶어하는 사람이 내 전 여친이라니! 1-2) 이렇게 맛있는 것이 천 원이라니! 1-3) 저렇게 어려보이는 사람이 마흔 살이라니!* 결합 정보1. ‘-라니' 뒤에 그에 대한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나 판단, 감정 등을 나타대는 문장이 올 수 있어서 연결 어미처럼 기능하기도 한다. 1-1) 너를 만나고 싶어하는 사람이 내 전 여친이라니 놀라울 따름이다. 1-2) 이렇게 맛있는 것이 천원이라니 돈이 없던 나는 정말 감사했다. 1-3) .. 2025. 1. 13. [한국어] ‘-는다니’ 어떤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낼 때 분류: 종결어미 특징: (동사에 붙어) 어떤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어미용법: 1) (의문문으로 쓰여) 친구나 아랫사람인 듣는 사람이 이미 들었거나 알고 있을거라 생각되는 사실에 대해 의문을 갖고 물어볼 때 씁니다. 1-1) 재석이는 뭐 해? 소설책이라도 읽는다니? 1-2) 명수는 하필 바쁜 지금 점심을 먹는다니? 1-3) 그 사람이 왜 의사라도 된다니? 1-4) 무슨 일이야? 준하가 집을 옮기기라도 한다니? * 심화 1) 표현으로 다른 사람에게 들은 것을 판단의 근거로 삼음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1-1) 그 맛없는 음식을 다 먹는다니 정말 배가 고팠나봐. 1-2) 그런 사람을 믿는다니 이해하기 힘드네요. 1-3) 앞으로는 술을 안 마신다니 믿어 봅시다. 2024. 9.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