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한축구협회 5급 심판 안내와 신청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아래 신청하는 방법을 잘 읽으신 후 아래 바로가기(대한축구협회 통합경기정보시스템)로 이동하셔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신청 자격
만 15세 이상의 남녀(교정시력 좌우 1.0 이상)
신청 방법
1. 아래 바로가기 클릭 혹은 검색창에 joinkfa 입력
2. 회원가입 후 로그인
3. KFA 공식 '통합경기정보 시스템' 사이트 접속 후 'JoinKFA‘ 클릭
4. 아래 ‘심판’ 클릭
5. 교육정보 메뉴창에 마우스 커서를 댄 후 ‘자격증코스’ 클릭
6. 지역 확인 후 참여할 자격증코스 선택
7. 교육 일정, 대상자 그리고 기타 안내 사항 확인 후 우측 상단 신청하기 클릭
8. 개인정보 작성
9. 접수비 10만원 납부
[바로가기] KFA 통합경기정보시스템
교육 기간
4일 (2주에 걸쳐 주말 또는 연속 4일)
시험 안내
시험은 이론 시험과 실기 시험, 이렇게 두 가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론 시험은 비교적 난이도가 높지 않아서 이론 교육을 충실히 받으면 기본 지식이 있는 분들은 쉽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사실 공부할 내용이 방대하긴 합니다. 심판의 기본이겠죠? 강사님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쪽집게처럼 시험 문제를 집어주시기도 한다는..
대부분 통과하는 이론 시험과 달리 실기 시험은 쉽지 않습니다.
실기 시험은 스프린트 테스트와 인터벌 테스트,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심판이 경기장에서 보여줘야 할 움직임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스프린트 테스트는 40m를 6.8초 이내에 완주해야 하며, (남성 기준) 총 6번의 스프린트를 이 시간 내에 완료해야 합격입니다. (축구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큰 문제 없이 통과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문제는…)
인터벌 테스트는 75m를 달리고 25m를 걷는 것을 12회 반복하는 것입니다. (평상시 꾸준한 훈련을 안하셨다면 죽음입니다;; 8-12회에 대량의 탈락자가 발생하곤 합니다.)
심판은 공의 위치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면 제대로 심판을 볼 수 없기에 정말 많이 뛰어야 하는게 맞지만 정말 너무 하네 싶으실 겁니다^^;; 4급 이상의 실기는 정말 빡세다고 하네요. 도전하실 분들은 꾸준히 운동하시고 특별히 인터벌 테스트를 염두해두시고 러닝 연습을 많이 하시길 추천합니다)
축구 심판 자격증 기본 안내
축구 경기장에는 선수들뿐만 아니라 경기를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해 축구 심판도 필수적입니다. 축구 심판이 되려면 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며, 자격증의 종류에 따라 심판할 수 있는 경기가 다릅니다. 대한축구협회는 심판 관련 규정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럼 축구 심판 자격증의 종류와 심판 가능한 경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한축구협회가 정한 기준에 따라 축구 심판 자격증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5급 심판 / 4급 심판 / 3급 심판 / 2급 심판 / 1급 심판
- 국제 심판 / 풋살 심판 / 비치사커 심판
급수별 심판 가능 범위
- 5급 심판: 동호인 경기의 주심, 부심, 전문축구 초등부(U-12) 경기의 2주심
- 4급 심판: 전문축구 초등부(U-12) 경기의 주심, 전문축구 중등부(U-15) 경기의 부심
- 3급 심판: 전문축구 중등부(U-15) 경기의 주심, 부심, 전문축구 고등부(U-18) 경기의 부심
- 2급 심판: 전문축구 고등부(U-18) 경기의 주심, 부심, 전문축구 대학부 경기의 부심
- 1급 심판: 전문축구 대학부 및 일반부 경기의 주심, 부심
- 국제 심판: 국제 경기의 주심, 부심 및 국내 경기의 주심, 부심
*상위 레벨의 심판은 하위 레벨 경기의 주심, 부심 역할도 맡을 수 있습니다. 여자 심판의 경우 체력 조건에 따라 남자 심판과 동일한 경기를 심판할 수 있습니다.
[축구코칭] 경기 원칙(Principle)의 중요성, 이를 바탕으로 실제 원칙 세우는 팁
[축구코칭] 팀에 맞는 포메이션 찾기
심판 승급
5급 심판 자격 취득 후 일정 경기 관장 및 교육 이수로 4급으로 승격할 수 있으며, 이후 조건을 만족하면 상위 레벨로 승격할 수 있습니다.
4급 심판 승급
- 최근 2년 이내 총 30경기 이상 주심, 부심 활동 (주심 10회 이상)
- 협회가 실시하는 교육 매년 1회 이상 이수
- 4급 심판 승급심사 통과
3급 심판 승급
- 최근 2년 이내 총 30경기 이상 주심, 부심 활동 (주심 10회 이상)
- 초등부(U-12) 전국대회 주심 2경기 이상 포함 총 5경기 이상
- 협회가 실시하는 교육 매년 1회 이상 이수
- 3급 심판 승급심사 통과
2급 심판 승급
- 최근 2년 이내 총 30경기 이상 주심, 부심 활동 (주심 10회 이상)
- 중등부(U-15) 전국대회 주심 2경기 이상 포함 총 5경기 이상
- 협회가 실시하는 교육 매년 1회 이상 이수
- 2급 심판 승급심사 통과
1급 심판 승급
- 최근 2년 이내 총 30경기 이상 주심, 부심 활동 (주심 10회 이상)
- 고등부(U-18) 전국대회 주심 4경기 이상 포함 총 10경기 이상
- 협회가 실시하는 교육 매년 1회 이상 이수
- 1급 심판 승급심사 통과
국제 심판
최상위 리그에서 활동한 심판으로서 FIFA의 국제 심판 선발 기준에 적합해야 합니다.
- 평가 과목: 실기평가, 영어시험, 체력측정
- 평가 진행: 심판 위원회에서 승인한 국제 심판 전형에 준하여 진행
- 요건 충족: 협회가 FIFA에 추천
'Football > Referee'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otball Referee] Qualification for Referee (0) | 2024.04.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