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의 우수성은 다들 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창제자와 창제년도가 명확히 알려진 몇 안 되는 문자 중 하나인 한글은 “자주, 애민, 실용”에 근간을 둔 세계 최고의 문자로 평가됩니다. 매년 유네스코에서는 세계적으로 문맹을 퇴치하는 과정에 큰 기여를 한 사람들에게 '세종대왕 문맹 퇴치상'을 수여하고 있는데, 이는 세종대왕이 만든 한글이 가장 배우기 쉬운 글자로서 문맹을 없애는 데 큰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세계가 인정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우수한 한글을 세종 대왕은 대체 왜 만들었을까요?
훈민정음 언해본에 나온 말을 보면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말소리가 중국과 달라서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않고 일반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펼 수 없는 사람이 많도다. 이를 딱하게 여기어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이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 나 날이 쓰기에 편하게 하고자 한 것이니라.”
-훈민정음 언해본-
[한국어] 문장 어순(기본편)
[한국어] 다섯가지 기본문형
[한국어] 문법 특징 중 하나 (존칭어 관련)
이 핵심 내용은 아랍어로도 적어볼까요?
“اللغة المستخدمة في الصين مختلفة، وبالتالي لا يمكن التعبير عنها بالحروف الصينية، مما أدى إلى صعوبة في تبادل الرأي بين الناس. لذلك، قرر الملك سيجون، الذي شعر بالأسف على هذا الوضع، إبداع 28 حرفًا يسهل تعلمها واستخدامها للناس، بهدف تسهيل كتابة النصوص."
- ترجمة النص الأصلي إلى العربية -
조선시대 제4대 왕인 세종대왕(재위 1418~1450년)은 백성들이 구두로는 말을 할 수 있지만 글을 알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세종 25년(1443년) 12월에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한글을 창제하는 데 힘썼다. 이 결과로 우리는 한글이라는 고유한 문자를 얻게 되었으며, 세종 28년(1446년)에는 <훈민정음>을 공포했다.
한글의 창제와 공포에는 당시 많은 반대가 있었지만, 세종대왕은 한글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활용하기 위해 첫 번째 한글 노래 '용비어천가'를 짓는 등 노력했다. 결과적으로 한글이 보급되면서 백성들은 생각과 의사를 글로 표현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고 의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한글은 17개의 자음과 11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기본 원리는 상형과 가획에 있다. 자음은 발음 기관을 모방하여 만들었고, 모음은 하늘, 땅, 사람을 모방하여 만들었다. 이러한 글자들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조합되어 음절을 이룬다.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한글은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세종대왕의 노력을 기념하기 위해 매년 10월 9일을 한글날로 지정하여 한글의 가치를 되새기고 있다.
한글이 만들어진 이유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며 우리말을 더욱 아끼고 사랑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한글을 배우려는 외국인 친구들이 많아지고 있어 이 글을 포스팅해봅니다.
'Learning languages > Kore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문법 특징 중 하나 (존칭어 관련) (0) | 2024.04.16 |
---|---|
[이벤트] 누리 세종 학당, 말솜씨 글솜씨 뽐내기 (0) | 2024.04.15 |
[한국어] 국립국어원 한국어-외국어 사전 (1) | 2024.04.13 |
[한국어] 한국어 자음 Consonants of Korean الحروف الساكنة في اللغة الكورية (0) | 2024.04.13 |
[한국어] 전 세계에서 한국어를 쓰는 사람은 몇 명이나 될까요? (0) | 2024.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