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earning languages/Korean

[한국어] ‘-는다는데’ 들은 내용이나 흔히 하는 말을 전달하거나 인용하면서 말을 잇는 표현

by 잡학만담 2024. 9. 13.

분류: 표현
특징: (동사에 붙어) 들은 내용이나 흔히 하는 말을 전달하거나 인용하면서 말을 잇는 표현으로 어미 ‘-는다’, 인용의 ‘고’, 동사 ‘하다’의 활용형 ‘하는데’가 함께 쓰인 ‘-는다고 하는데’의 줄어든 표현


용법:
1) 들은 내용을 전달하거나 흔히 하는 말을 인용하면서 자신의 생각이나 질문 등을 이어 말할 때 씁니다. 주로 전달한 내용과 관련한 생각이나 의견, 질문 등이 뒤에 옵니다.
1-1) 축제라서 도서관 안 열지도 모른다는데 미리 책을 반납하는게 좋겠어.
1-2) 서당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는데 그렇게 열심히 했으니 이번에는 통과하겠지.
1-3) 다른 사람들은 된다는데 왜 안 된다고 해요?
1-4) 마음을 착하게 먹어야 복을 받는다는데 왜 그러는거야?

2. (문장의 종결형처럼 쓰여 아랫사람에게나 친구와 같이 친한 사이에서) 말하는 사람이 들은 사실을 여운을 남기면서 전달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나타내고자 하는바를 말함을 나타냅니다.
2-1) 문을 일찍 열지도 모른다는데?
2-2) 내년에 한국에 돌아온다는데?
2-3) 너도 가려고? 오늘은 선배들끼리만 논다는데?



* 심화
1) ‘요’가 붙어 높임 표현 ‘-는다는데요’가 됩니다.

2) 의미를 강조하거나 부가하기 위해 ‘-는다는데도, 는다는데야' 처럼 뒤에 조사 ‘도, 야’를 붙일 수 있습다.
2-1) 지금 간다는데도 자꾸 재촉을 하잖아요.
2-2) 안다는데도 계속 설명할 필요가 있을까요?
2-3) 여기에다가 꼭 집을 짓는다는데야 막을 수 있어야지요.
2-4) 아이가 캠핑을 가서 잔다는데야 도리가 없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