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종결어미
특징: 직접 경험하여 새로 알게 된 사실에 대한 물음을 나타내는 어미
용법:
1) 상대방이 직접 경험하여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대해 물어볼 때 쓴다.
1-1) 클라라가 한국말을 잘하던?
1-2) 상가에 사람들이 많던?
1-3) 그 사람 책은 좀 읽었던?
1-4) 그 책장은 살 만하겠던?
2) (수사의문문으로 쓰여) 앞의 내용을 강하게 부정하거나 강력하게 반발 혹은 의문제기를 함을 나타낸다.
2-1) 내가 너에게 해가 되는 일을 시키던?
2-2) 그 친구가 언제 내 말을 듣던?
2-3) 내가 언제 너하고 한 약속을 안 지키던?
* 심화
1) 비슷한 의미의 ‘-더냐‘보다 더 친근하게 쓰는 말이다.
1-1) 클라라가 한국말을 잘하더냐?
1-2) 그 사람 책은 좀 읽었더냐?
1-3) 내가 너에게 해가 되는 일을 시키더냐?
1-4) 그 친구가 언제 내 말을 듣더냐?
2) 어미 ‘-디’와 큰 의미 차이 없이 바꿔 쓸 수 있다.
2-1) 클라라가 한국말을 잘하디?
2-2) 그 사람 책은 좀 읽었디?
반응형
'Learning languages > Kore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던걸’ 말하는 사람이 과거에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나 자신의 생각, 느낌을 다시 떠올려 말할 때 (0) | 2024.12.04 |
---|---|
[한국어] ‘-던가’ 상대방이 경험한 것에 대해 물음을 나타낼 때 (0) | 2024.12.04 |
[한국어] ‘-던’ 명사를 수식하게 하고 과거 상황을 회상하거나 그 상황이 완료되지 않고 중단되었음을 나타낼 때 (0) | 2024.12.02 |
[한국어] ‘-더러’ 행위의 영향을 받는 사람임을 나타내는 조사 (0) | 2024.12.02 |
[한국어] ‘-더래’ 다른 사람에게서 직접 들은 말을 전함을 나타내는 표현 (0)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