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연결어미
특징: 조건이나 가정, 양보의 의미를 나타내는 어미

용법:
1. 앞선 내용이 뒤 상황에 대한 필수적인 조건임을 나타낸다.
1-1) 박사학위 이상이라야 지원할 수 있습니다.
1-2) 명수라야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1-3) 재석이는 같이 일할 사람이 준하가 아니라야 맡겠대요.
1-4) 그 사람은 자기 일이라야 신경을 쓰지, 다른 사람의 일에는 1도 관심없다.
2. ('-라야 하다’, ‘-라야 되다’의 구성으로 쓰여) 어떤 일을 하려면 그러한 내용이지 않으면 안 됨을 나타낸다.
2-1) 그곳에 지원하려면 한국어 교육 전공자라야 돼
2-2) 독서는 취미가 아니라 생활이라야 해.
2-3) 사회생활을 잘하려면 모난 성격이 아니라야 해요.
* 결합 정보
1. 그 뜻을 강조하기 위해 조사 ‘-만’과 결합한 ‘-라야만' 형태로도 쓰인다.
1-1) 박사 학위 이상이라야만 지원할 수 있습니다.
1-2) 명수라야만 그 문제를 해결할수 있을 거예요.
1-3) 그 사람은 자기 일이라야만 신경을 쓰지, 다른 사람의 일에는 1도 관심없다.
1-4) 그곳에 지원하려면 한국어 교육 전공자라야만 돼.
* 심화
1. 큰 의미 차이 없이 어미 ‘-아야’로 바꿔 쓸 수 있다.
1-1) 박사학위 이상이어야 지원할 수 있습니다.
1-2) 명수이어야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1-3) 재석이는 같이 일할 사람이 준하가 아니어야 맡겠대요.
'Learning languages > Kore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라지’ 말하는 사람이 들어서 알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여 서술하거나 물어보는 뜻을 나타내는 어미 (0) | 2025.02.02 |
---|---|
[한국어] ’-라잖아’ 말하는 사람이 들은 다른 사람의 말이니 상황을 전하거나 그 자신이 한 말을 다시 하면서 그것이 이유임을 나타낼 때 (0) | 2025.02.01 |
[한국어] ‘-라서’ 이유나 근거를 나타내는 어미 (0) | 2025.01.31 |
[한국어] ‘-라면서’(2) 어떤 말을 함과 동시에 또 다른 행위나 말을 할 때 (0) | 2025.01.31 |
[한국어] ‘-라면서‘ 친구나 아랫사람에게 쓰여 다른 사람에게 들은 내용을 확인하여 물음을 나타낼 때 (0)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