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earning languages/Korean

[한국어] ‘-라야‘ 조건이나 가정, 양보의 의미를 나타내는 어미

by 잡학만담 2025. 1. 31.

분류: 연결어미
특징: 조건이나 가정, 양보의 의미를 나타내는 어미


용법:
1. 앞선 내용이 뒤 상황에 대한 필수적인 조건임을 나타낸다.
1-1) 박사학위 이상이라야 지원할 수 있습니다.
1-2) 명수라야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1-3) 재석이는 같이 일할 사람이 준하가 아니라야 맡겠대요.
1-4) 그 사람은 자기 일이라야 신경을 쓰지, 다른 사람의 일에는 1도 관심없다.

2. ('-라야 하다’, ‘-라야 되다’의 구성으로 쓰여) 어떤 일을 하려면 그러한 내용이지 않으면 안 됨을 나타낸다.
2-1) 그곳에 지원하려면 한국어 교육 전공자라야 돼
2-2) 독서는 취미가 아니라 생활이라야 해.
2-3) 사회생활을 잘하려면 모난 성격이 아니라야 해요.



* 결합 정보
1. 그 뜻을 강조하기 위해 조사 ‘-만’과 결합한 ‘-라야만' 형태로도 쓰인다.
1-1) 박사 학위 이상이라야만 지원할 수 있습니다.
1-2) 명수라야만 그 문제를 해결할수 있을 거예요.
1-3) 그 사람은 자기 일이라야만 신경을 쓰지, 다른 사람의 일에는 1도 관심없다.
1-4) 그곳에 지원하려면 한국어 교육 전공자라야만 돼.



* 심화
1. 큰 의미 차이 없이 어미 ‘-아야’로 바꿔 쓸 수 있다.
1-1) 박사학위 이상이어야 지원할 수 있습니다.
1-2) 명수이어야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1-3) 재석이는 같이 일할 사람이 준하가 아니어야 맡겠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