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earning languages534 [한국어] ‘-기로서니’ 앞 문장의 사실은 인정하지만 그것이 뒷 문장의 이유가 조건이 될 수 없음 분류: 연결어미 특징: 앞 문장의 사실은 인정하나 그것이 뒷 문장의 이유나 조건이 되지 않을 때 사용하는 연결어미입니다.용법: 1) (주로 ‘아무리‘와 함께 쓰여) 앞에 오는 문장의 사실은 인정하지만 그것이 뒷 문장의 이유나 조건이 될 수는 없음을 나타냅니다. 즉, 양보의 의미로 사용할 때 씁니다. 1-1) 준하야, 아무리 명수가 밉기로서니 어쩌면 네가 그렇게 할 수 있니? 1-2) 이것이 아무리 중요하기로서니 집을 팔아야 할 정도니? 1-3) 6살 아이가 아무리 빠르기로서니 어른보다 빠를 순 없겠지. 1-4) 아주머니, 제가 공기밥을 아무리 많이 먹었기로서니 밥값을 두 배로 받으시면 어떻게해요? 1-5) 호동아 아무리 배고프기로서니 20인분을 시키면 어떻게하니? * 심화 1) ’-기로서니’는 ‘기로’,.. 2024. 7. 6. [한국어] ‘-기로 들다‘ 앞의 행위를 애써 하려고 하거나 앞의 상태에서 뒤의 내용을 판단할 때 분류: 표현 특징: 앞의 행위를 애써 하려고 하거나 앞의 상태에서 뒤의 내용을 판단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어미 ‘-기로’와 동사 ‘들다’가 함께 쓰입니다.용법: 1) (’-기로 들자면‘의 구성으로 쓰여) 앞의 행위나 상태가 뒤에 나오는 판단이나 선택의 근거가 됨을 나타냅니다. 1-1) 머리가 좋기로 들면 홍철이를 당할 자가 없지 않나? 1-2) 공공 시설 나쁘기로 들면 아마도 너희 관내가 뽑힐 것 같다. 1-3) 맞아, 일단 하기로 들면 못 할 일도 아니지 않나? 1-4) 거기까지 먼저 가기로 들면 우리 팀원들이 10등안에 모두 차지할 것 같다. 1-5) 까불기로 들면 하하만한 친구가 없지. 1-6) 짜장면 빨리 먹기로 들면 상면이가 최고지. 2024. 7. 6. [한국어] ‘-기로‘ 까닭이나 조건 혹은 양보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분류: 연결어미 특징: 까닭이나 조건 혹은 양보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로 어미 ‘-기’와 조사 ’로‘가 함께 쓰입니다.용법: 1) ‘-기로’는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냅니다. 1-1) 아이고 내가 전생에 무슨 죄를 지었기로 이런 수모를 당하나.. 1-2) 귀하는 타의 모범이 되었기로 이 상장을 수여합니다. 2) (주로 '아무리‘와 함께 쓰여) ’앞 문장의 내용이 그렇다 하더라도‘라는 양보의 뜻으로 사용됩니다. 2-1) 대체 얼마나 바쁘기로 연락이 전혀 안되냐? 2-2) 아무리 잘못했기로 밥도 안주고 쫒아내는게 말이 됩니까? * 결합 정보 1) 용법 1)의 ’-기로’는 ‘-기에’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1-1) 아이고 내가 전생에 무슨 죄를 지었기에 이런 수모를 당하나.. 1-2) 귀하는 타의 모범.. 2024. 7. 2. [한국어] ‘-기 때문’ 어떤 일의 이유나 원인을 나타내는 표현 분류: 표현 특징: 어떤 일의 이유나 원인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어미 ‘-기’와 의존명사 ‘때문’이 함께 쓰입니다.용법: 1) (‘-기 때문에, ‘-기 때문이다‘와 같이 쓰여) 어떤 일의 원인이나 까닭임을 나타냅니다. 1-1) 재석이는 어제 바빴기 때문에 전화를 못 받았다. 1-2) 영철이는 한국인이기 때문에 아랍어를 모릅니다. 1-3) 명수가 아침에 방송에 늦은 것은 어제 술을 많이 마셨기 때문이다. 1-4) 하하는 준하보다 어리기 때문에 구박을 받았다. * 결합 정보 1) 명령문이나 청유문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1-1) 공부하기 때문에 집에 가 주시겠어요? (x) 1-2) 공부해야 하니 집에 가 주시겠어요? 1-3) 배가 고프기 때문에 식당에 가라. (x) 1-4) 배가 고프면 식당에 가라. * 심.. 2024. 7. 2. [한국어] ‘-기는’ 상대방의 말을 부정하거나 가볍게 비난할 때 사용하는 종결어미 분류: 종결어미 특징: 상대방의 말을 부정하거나 가볍게 비난할 때 사용하는 종결어미로 어미 ‘-기’와 조사 ‘는’이 함께 쓰입니다.용법: 1) 상대방의 말을 가볍게 부정하거나 반박할 때 사용합니다. 칭찬의 말에 대해 쓰면 겸손한 표현이 되기도 합니다. 1-1) 재석: 명수가 참 성실하지? / 준하: 성실하기는. 어제도 모임에 늦었잖아. 1-2) 하하: 준하는 정말 바보인가봐. / 홍철: 바보이기는. 얼마나 똑똑한지 몰라. 1-3) 수근: 장훈이 농구 잘하네! / 호동: 잘하기는. 2) 상대방을 가볍게 비난하거나 핀잔을 줄 때 사용합니다. 2-1) 아이고 어리석기는. 같은 패턴에 세 번이나 당하냐? 2-2) 그만한 일로 낄낄대며 웃기는. 2-3) 이녀석, 잘한 것도 하나 없으면서 대들기는. * 결합 정보 .. 2024. 6. 30. [한국어] ‘-기나 하다’ 최소한의 것도 기대하기 어렵지만 그래도 하기를 바란다는 표현 분류: 표현 특징: 최소한의 것도 기대하기 어렵지만 그래도 하기를 바란다는 뜻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어미 ‘-기’와 조사 ‘나’ 그리고 동사 ‘하다’가 함께 쓰입니다.용법: 1) 최소한의 것도 기대하기 어렵기에 유감스럽게 생각하지만 그래도 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낼 때 사용합니다. 1-1) 손님, 한 번 먹어 보기나 하고 결정하세요. 1-2) 노력하기나 하면 밉지는 않을텐데. 1-3) 제발 조용히 자기나 해라. 1-4) 우리 팀 직원을 뽑는데 성실하기나 하면 일은 잘 못 해도 괜찮을 것 같아. 1-5) 이 드레스 한 번 입어 보기나 하세요. 2024. 6. 29.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8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