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표현
특징: (동사에 붙어) 어떤 일을 끝내고 그 이후나 결과를 보게 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어미 ‘-고’와 동사 -보다‘가 함께 쓰입니다.
용법:
1) (‘-고 보자’ 혹은 ‘-고 봅시다’ 혹은 ‘-고 봐’와 같이 쓰여) 먼저 어떤 행위를 한 이후에 그 결과나 나머지 일에 대해 생각할 것을 제안하거나 명령함을 나타냅니다.
1-1) 우선 출발하고 보자.
1-2) 내 말을 먼저 듣고 보세요.
1-3) 금강산도 식후경인데 일단 밥 먼저 먹고 봅시다.
1-4) 네 마음을 표현하려면 일단 고백부터 하고 봐.
2) (동사나 ‘명사-이다’에 붙어서 ‘-고 보니’ 혹은 ‘-고 보면’과 같이 쓰여) 행위가 일어나기 전에는 미처 몰랐는데 행위를 한 이후 혹은 그 결과로 뒤에 오는 내용을 받아들이거나 새삼 깨닫게됨을 나타냅니다.
2-1) 염소를 그리려고 했는데, 그리고 보니 양이 되었다.
2-2) 그 소문을 듣고 속이 상했는데, 이야기를 자세히 듣고 보니 그렇게 밖에 할 수 없었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2-3) 그 사람 딱 세 번만 만나고 보면 생각이 달라질 거야.
2-4) 감독이고 보니 책임을 질 수 밖에 없겠지.
3) (동사나 ‘명사-이다’에 붙어서 ’-고 볼 일이다’ 혹은 ‘-고 봐야 하다/되다’와 같이 쓰여) 그렇게 하거나 그런 상태인 것이 다른 일보다 우선임을 나타냅니다.
3-1) 달리기는 빠르고 볼 일이야.
3-2) 남자는 잘생기고 봐야 한다더니.
3-3) 요즘 같은 시대에 돈은 많고 볼 일이지.
3-4) 또 대출을 했어? 아이고 부자이고 볼 일이야.
[한국어] 문장 연결 어미의 종류(12) 방법, 수단
[한국어] 명사절 완벽 정리
[한국어] 관형사절 완벽 정리
* 심화
1) 용법 2)와 비슷한 표현으로 ‘-고 나다’가 있습니다. 하지만 약간의 의미 차이가 있습니다.
1-1) 알고나면 새댁 입장도 이해는 가.
1-2) 처가집 이야기를 다 듣고 나니 이해는 가지만 절대로 돈을 빌려 줄 수는 없어.
'Learning languages > Kore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고 싶다’ 말하는 사람이 어떤 행위를 하기 원할 때 사용하는 표현 (0) | 2024.06.18 |
---|---|
[한국어] ‘-고서’ 앞 문장의 행위 뒤 그것을 방법으로 뒤 문장의 행위를 함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1) | 2024.06.18 |
[한국어] ’-고 말다‘ 어떠한 일이 결국 일어났을 때 사용하는 표현 (0) | 2024.06.17 |
[한국어] ‘-고말고’ 종결어미, ‘고말고요’ 표현 (0) | 2024.06.15 |
[한국어] ‘-고도’ 앞의 내용과 상반되거나 다른 특성을 이어 주는 어미 (0) | 202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