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88

[한국어] ‘-며’ 여러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면서 예를 들거나 대등을 나타낼 때 분류: 조사특징: (받침 없는 명사에 붙어) 여러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면서 예를 들거나 대등을 나열하는 조사용법:1. (주로 ‘-며 -며' 구성으로 반복적으로 쓰여) 한 부류로 묶을 수 있거나 서술어와 연관된 여러 사물들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면서 나열할 때 쓴다. 1-1) 아이가 코며 눈이며 제 엄마를 그대로 닮았다. 1-2) 그 건물안에는 스포츠센터며 레스토랑이며 없는 것이 없다. 1-3) 과자며 과일이며 음료수를 잔뜩 준비해 두었다. 1-4) 이번 프로젝트에 동료며 후배들이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1-5) 샴푸며 칫솔 같은 세면도구는 꼭 가지고 가세요.* 심화1. ‘-며’는 같은 기능을 하는 조사 ’다', ‘-니'나 ‘하고’, ‘하며’로 바꿔 쓸 수 있다. 1-1) 그 여자의 생.. 2025. 3. 11.
[한국어] ‘-만큼‘ 비유나 비교의 대상을 나타내는 조사 분류: 조사특징: 비유나 비교의 대상을 나타내는 조사용법:1. 앞말과 비슷한 정도나 한도임을 나타낸다. 1-1) 명수가 재석이만큼 컸다. 1-2) 우리나라만큼 아름다운 곳도 없다. 1-3) 아버지가 널 얼마만큼 사랑하는지 모를 거야. 1-4) 준하가 거기에서도 여기에서 만큼 잘할 것이다. 1-5) 그 사람은 날 눈곱만큼도 생각 안 해요.* 결합 정보1. ‘만큼’ 위 용법에 조사 ‘-은’을 붙여 쓰는 경우가 있는데 모두 잘못된 쓰임으로 ‘-만은’ 형태로 적어야 옳다. 1-1) 부모님에게만큼은 잘해 드리고 싶어요. (x) 1-2) 내 아이만큼은 잘 키울 것이니 교육만큼은 제게 맡기세요. (x) 1-3) 오늘만큼은 집에서 쉬고 싶다. (x) 1-4) 전 술만큼은 좋은 것을 마셔요. (x) 1-5) .. 2025. 3. 11.
[명화] 황색 그리스도가 있는 자화상(폴 고갱) 프랑스 혁명 이후 공학파 신문 의 주필로 일하던 고갱이 아버지는 정세가 불리해지자 가족을 이끌고 남미로 망명을 결심, 페루로 떠나게 됩니다. 그러나 아버지가 배 안에서 사망 하는 바람에 가족 모두 혹독한 타지생활을 하다가 5년 만에 프랑스로 돌아오게 됩니다. 고갱은 파리 주식중개소에서 일하다가 덴마크 출신의 아내와 결혼했고 다섯 명의 아이를 나으며 평범한 회사원의 삶을 사는 듯 했습니다. 그러나 34세가 되던 해 취미로 배우던 그림을 직업으로 삼기로 결정 합니다. 이후 그는 무책임하다 싶을 정도로 가정을 내팽겨쳤습니다. 아내는 아이들과 함께 친정에 있는 고국으로 떠났고 고갱은 퐁타벤에서 동료들과 예술가 공동체를 이루며 살았습니다.폴 고갱(Paul Gauguin)의 〈황색 그리스도가 있는 자화상〉(Self.. 2025. 3. 7.
[명화] 만종(장 프랑수아 밀레) 장 프랑수아 밀레(Jean-François Millet)의 만종(L’Angélus, 1857~1859)은 프랑스의 농촌 풍경을 담은 대표적인 명작 중 하나로, 저녁 종소리에 맞춰 기도하는 농부 부부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밀레는 당시로서는 드물게 가난하고 소외 당한 계층 특히 농민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그림을 그려 “농민화가”라고 불렸습니다.스페인의 초현실주의 화가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í)는 〈만종〉을 보고 흥미로운 가설을 제기했어요. 그는 이 그림에서 기도하는 농부 부부가 단순히 하루의 노동을 마치고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 아이의 죽음을 애도하는 장면이라고 주장했죠. 달리는 어릴 때부터 이 그림이 이상하게 슬프게 느껴졌고, 그림 속 바구니가 단순한 수확물이 아니라 관(棺)일 가능.. 2025. 3. 7.
[한국어] ‘-만치‘ 비유나 비교의 대상을 나타내는 조사 분류: 조사특징: 비유나 비교의 대상을 나타내는 조사용법:1. 앞말과 비슷한 정도나 한도임을 나타낸다. 1-1) 난 언제쯤이면 명수만치 키가 클까? 1-2) 재석이만치 착한 애도 없다. 1-3) 그만치 사랑은 아름다운 거야. 1-4) 준하가 거기에서도 여기에서만치는 할 것이다. 1-5) 그 사람은 날털끝만치도 사랑 안 해요. 2025. 3. 5.
[한국어] ‘-만은’ 특정한 한 대상을 반드시 한정함을 나타내는 표현 분류: 표현특징: 특정한 한 대상을 반드시 한정함을 나타내는 표현용법:1. 다른 대상은 배제하고 반드시 특정한 한 대상을 한정함을 강조할 때 쓴다. 1-1) 너만은 나를 이해해야 돼. 1-2) 라면만은 먹지 않겠습니다. 1-3) 그가 먼저 시작한 것만은 사실이야. 1-4) 너에게만은 거짓말을 하지 않았어. 1-5) 그 사람이 도둑질을 하고 싶어서 한 것만은 아닐 거야. 1-6) 너는 나를 이해해야 돼. 1-7) 라면은 먹지 않겠습니다. 1-8) 그가 먼저 시작한 것은 사실이야. 1-9) 너에게는 거짓말을 하지 않았어. 1-10) 그사람이 도둑질을 하고 싶어서 한 것은 아닐 거야.* 심화1. ‘만'과는 다소 의미 차이가 있으므로 구별해야 한다. 1-1) 너만 나를 이해해야 돼. 1-2) 라면만 먹지 않.. 2025.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