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earning languages/Korean446

[한국어] ‘-라더냐’ 반문하듯이 하여 어떤 내용에 대해 강하게 주장함을 나타내는 어미 분류: 종결어미특징: 반문하듯이 하여 어떤 내용에 대해 강하게 주장함을 나타내는 어미용법:1. 【의문문에 쓰여 아랫사람에게나 친구와 같이 친한 사이에서】 말하는 사람의 생각을 강하게 주장하기 위해 반문하듯이 말할 때 쓴다. 1-1) 내가 언제 어제 먹은 음식이 돈까스라더냐? 1-2) 그게 사실이라더냐? 1-3) 네가 진정 선생이라더냐?* 결합 정보1. 어미 ‘-라더냐’는 ‘-라고 하더냐‘가 줄어든 표현 ‘-라더냐’와 동일한 형태이지만 그 의미 차이가 분명하다. 1-1) 네가 진정 선생이라더냐? (x) 1-2) 네가 진정 선생이라고 하더냐? (x) 2025. 1. 16.
[한국어] ’-라더군‘ 말하는 사람이 들어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상대방에게 전달함을 나타내는 표현 분류: 표현특징: 말하는 사람이 들어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상대방에게 전달함을 나타내는 표현용법:1. (말할 때 아랫사람에게나 친구와 같이 친한 사이에서) 말하는 사람이 들어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을 상대방에게 전달할 때 쓴다. 1-1) 그 사람이 바로 재석이 여자친구라더군. 1-2) 내일은 눈이 올 거라더군.* 결합 정보1. 젊은 남녀나 어린아이들은 잘 쓰지 않고 나이가 좀 든 사람들이나 남성들 사이에서 주로 쓴다.* 심화1. ‘요’가 붙어 높임 표현 ’-라더군요’가 된다. 2025. 1. 15.
[한국어] ‘-라니요’ 어떤 사실에 대해 놀람이나 감탄 혹은 믿을 수 없음을 나타내는 표현 분류: 표현특징: 어떤 사실에 대해 놀람이나 감탄 혹은 믿을 수 없음을 나타내는 표현용법:1. 뜻밖의 일이라서 놀라거나 감탄함을 나타낸다. 1-1) 저를 만나고 싶어하는 사람이 부장님이라니요! 1-2) 이렇게 맛있는 것이 단 돈 천원이라니요! 1-3) 홍선생: 숙제들 해 오셨지요? / 학생들: 숙제라니요? 무슨 숙제가 있었어요? 1-4) 박대리: 거기 종이 좀 집어 주세요. / 이대리: 종이라니요? 여기 종이 없는데요. 2025. 1. 15.
[한국어] ’-라니까는‘ 들었거나 알고 있는 사실을 이유나 근거로 삼아 인용함을 나타내는 표현 분류: 표현특징: 들었거나 알고 있는 사실을 이유나 근거로 삼아 인용함을 나타내는 표현용법:1. 자신의 말이나 다른 사람의 말을 이유나 근거로 심아 인용함을 나타낸다. 1-1) 내 아들이 중학생이라니까는 모두들 놀라더라. 1-2) 나와 같이 있던 여자가 애인이 아니라니까는 형은 실망했다. 1-3) 사실이라니까는 왜 안 믿는 거야.* 결합 정보1. ‘-라니까는‘은 ‘-라니깐’으로 줄여 쓰기도 한다. 2025. 1. 15.
[한국어] ‘-라니까‘ 말하는 사람이 한 말을 다시 한 번 강조할 때 분류: 종결어미특징: 말하는 사람이 한 말을 다시 한 번 강조함을 나타내는 어미용법:1. (말할 때 아랫사람이나 친구와 같이 친한 사이에서) 상대방이 확인하여 질문하거나 반복적으로 요구, 제안하는 경우 말하는 사람이 자신의 입장이나 의견을 다시 한 번 강조함을 나타낸다. 1-1) 그 사람은 분명 중학생이라니까. 1-2) 한 번도 빠지지 않고 매일 서점에 가는 애가 명수라니까. 1-3) 그 둘이 분명히 사귀는 사이라니까. 1-4) 그건 사실이 아니라니까.* 심화1. ‘요’가 붙어 높임 표현 ‘-라니까요’가 된다. 2025. 1. 15.
[한국어] ‘-라니‘(2) 어떤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낼 때 분류: 종결어미특징: 어떤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낼 때용법:1. (의문문으로 쓰여) 친구나 아랫사람인 듣는 사람이 이미 들었거나 알고 있을거라 생각되는 사실에 대해 의문을 갖고 물어볼 때 쓴다. 1-1) 올 겨울은 왜 이렇게 추운 겨울이라니? 1-2) 하필 그 남자가 만나는 사람이 내 친구라니? 1-3) 재석: 부산에 갈 때 새마을호를 타고 갈까요? / 준하: 새마을호라니? 그게 뭐야? 1-4) 언니: 내일 시험 잘 봐. / 동생: 시험이라니? 무슨 시험 말이야?* 결합 정보1. ‘-라니’는 질문이나 의문을 나타내므로 말끝을 올려야 하지만 ‘-라니’는 놀람이나 감탄을 나타내거나 혼잣말에 쓰이므로 말 끝을 내려야 한다. 2025. 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