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ing languages/Korean440 [한국어] ‘-라고요‘ 사람이 자신의 말이나 상대방의 말을 반복해 언급하거나 강조하여 말할 때 쓰는 표현 분류: 표현특징: 사람이 자신의 말이나 상대방의 말을 반복해 언급하거나 강조하여 말할 때 쓰는 표현용법:1) 자신의 말을 되풀이하거나 생각을 강조할 때 쓴다. 1-1) 선배: 이거 네가 한 거지? / 명수: 아니요, 제가 한 거 아녜요. 선배: 네가 했잖아. / 명수: 정말로 제가 한 게 아니라고요. 1-2) 재석이도 여기에 올 자격이 있는 사람이라고요. 1-3) 아니, 제 말은 이 영화가 더 재미있는 영화라고요.2) 다른 사람의 말을 확인하거나 따져 물을 때 쓴다. 주로 앞서 상대방이 한 말을 옮겨와 다시 되묻는 것이며 이때 말끝은 올린다. 2-1) 뭐라고요? 준하가 의대생이 아니라고요? 2-2) 뭐요? 나보고 아줌마라고요?3) (주로 ‘얼마나’와 함께 쓰여) 다른 사람에게 자랑하듯이 말할 때 쓴다... 2025. 1. 9. [한국어] ‘-라고는’ 앞 명사를 지정하여 강조함을 나타내는 표현 분류: 표현특징: (받침 없는 명사에 붙어) 앞 명사를 지정하여 강조함을 나타내는 표현용법:1) 앞 명사를 지정하여 강조할 때 쓴다. 일반적으로 뒤에는 부정의 뜻을 가지는 말이 와 그 상황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1-1) 그가 가진 거라고는 1달러짜리 한 장뿐이란다. 1-2) 집에 가구라고는 침대와 옷장이 전부야. 1-3) 그 사람은 인정머리라고는 도무지 찾아볼수 없다. 1-4) 명수는 예의라고는 조금도 모르는 사람이다.* 결합 정보1) 상황을 부정적으로 인식할 때 쓰므로 긍정적인 상황에서는 쓸 수 없다. 1-1) 외국어에 소질이 있어서 외국어라고는 다 좋아해요. (x) 1-2) 잘 생기지는 않았지만 목소리라고는 아주 좋았다. (x)2) ‘-라고는‘은 ‘-라곤’으로 줄여 쓸 수 있다. 2024. 12. 22. [한국어] ‘-라고’(3) 다른 사람에게서 들은 내용을 옮겨 말하거나 문장 주어의 생각, 의견을 나타낼 때 분류: 표현특징: (‘이다, 아니다‘에 붙어) 다른 사람에게서 들은 내용을 옮겨 말하거나 문장 주어의 생각, 의견을 나타낼 때용법:1) 다른 사람에게서 들은 내용을 간접적으로 옮겨 말하거나 문장 주어의 생각, 의견 등을 나타낼 때 쓴다. 1-1) 동네 사람들은 준하가 천재라고 합니다. 1-2)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은 백두산이라고 합니다. 1-3) 그는 자신이 범인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1-4) 홍 선생님께서 내일은 출발하실 거라고 학교에서 연락이 왔어요. 1-5) 하하를 보면 정말로 그녀를 사랑한 사람은 나라고 전해 줘. 1-6) 모두들 재석이 말이 틀린 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1-7) 그 정도면 괜찮은 그림이라고 봐요. 1-8) 저는 정준하라고 합니다. 1-9) 저 사람은 노홍철이라고 .. 2024. 12. 22. [한국어] ‘-라고’(2) 특별하지도 않고 보잘것없다고 생각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분류: 조사특징: (받침 없는 명사에 붙어) 특별하지도 않고 보잘것없다고 생각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용법:1) 특별하지도 않고 보잘것없다고 생각하여 얕잡아 보는 대상임을 나타낸다. 1-1) 이렇게 맛없는 걸 커피라고 팔다니… 1-2) 나원 참, 형님이라고 하나 있는 것이 술도 한 잔 못 마신다. 1-3) 강사료라고 얼마 주지도 않는구먼. 1-4) 자두라고 원, 너무 작아서 먹을 게 없네 2) (‘누구, 언제, 어디' 따위의 의문사나 의문사를 가지는 말에 붙어) 예외 없이 모두 포함되는 대상임을 나타낸다. 뒤에는 부정의 뜻을 가진 의문 형식이 온다. 2-1) 누구라고 감히 할아버지 말씀을 어기겠어요? 2-2) 선생님이 언제라고 나를 특별히 반겨 주시겠니? 2-3) 어느 앞에서라고 거짓말을 하려고 해? 2024. 12. 22. [한국어] ‘-라고‘ 앞말이 직접 인용되는 말임을 나타내는 조사 분류: 조사특징: 앞말이 직접 인용되는 말임을 나타내는 조사용법:1) (받침 없는 말에 붙어) 앞말이 원래 말해진 그대로 인용됨을 나타낸다. 1-1) 아주버님은 친절하게 “천천히 많이 먹어요.”라고 말씀하셨어요. 1-2) 명수가 ”내일 비가 많이 올 것 같던데.”라고 얘기하더군. 1-3) 재석이가 나에게 “그렇게 귀가 밝으세요”라고 묻더라. 1-4) 공원 곳곳에 ‘잔디를 밟지 마시오’라고 써 있다. 1-5) 하하는 담배를 피려고 ‘흡연 장소’라고 쓰여 있는 곳을 찾았다.* 결합 정보1) ‘-라고'는 ‘-라’로 줄여 쓸 수 있다. 1-1) 아주버님은 친절하게 “천천히 많이 먹어요.”라 말씀하셨어요. 1-2) 명수가 ”내일 비가 많이 올 것 같던데.”라 얘기하더군. 1-3) 재석이가 나에게 “그렇게.. 2024. 12. 22. [한국어] ‘-라거든’(2) 자신이 들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상황을 전하면서 그것이 이유임을 나타내는 표현 분류: 표현특징: (‘이다, 아니다’에 붙어) 자신이 들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상황을 전하면서 그것이 이유임을 나타내는 표현용법:1) 다른 사람의 말을 인용하면서 문장을 끝맺을 때 쓴다. 상대방의 질문에 대해 대답을 하거나 앞뒤에 이어지는 말에 대한 이유, 근거 등을 나타낸다. 1-1) 학생: 명수한데 왜 그렇게 책을 많이 사 주세요? / 선생님: 명수가 제일 좋아하는 것이 책이라거든. 1-2) 준하: 하하에게 반지 못 받았니? / 민지: 그 반지 나 줄 게 아니라거든. 1-3) 홍철: 왜 오늘 길이랑 싸웠니? / 하하: 길이가 자꾸 나보고 바보라거든.*심화1) ‘요’가 붙어 높임 표현 ‘-라거든요’가 된다. 2024. 12. 21.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