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earning languages/Korean446 [한국어] ‘-라니’(1) 어떤 사실에 대해 놀람이나 감탄 혹은 믿을 수 없음을 나타낼 때 분류: 종결어미특징: 어떤 사실에 대해 놀람이나 감탄 혹은 믿을 수 없음을 나타내는 어미용법:1. (친구 관계나 그 밖에 아주 친한 사이에서 또는 말하는 사람보다 아랫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쓰여) 뜻밖의 일이라서 놀라거나 감탄함을 나타낸다. 혼잣말로도 쓴다. 1-1) 너를 만나고 싶어하는 사람이 내 전 여친이라니! 1-2) 이렇게 맛있는 것이 천 원이라니! 1-3) 저렇게 어려보이는 사람이 마흔 살이라니!* 결합 정보1. ‘-라니' 뒤에 그에 대한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나 판단, 감정 등을 나타대는 문장이 올 수 있어서 연결 어미처럼 기능하기도 한다. 1-1) 너를 만나고 싶어하는 사람이 내 전 여친이라니 놀라울 따름이다. 1-2) 이렇게 맛있는 것이 천원이라니 돈이 없던 나는 정말 감사했다. 1-3) .. 2025. 1. 13. [한국어] ‘-라는데‘ 들은 내용이나 흔히 하는 말을 전달하거나 인용하면서 말을 이을 때 분류: 표현특징: 들은 내용이나 흔히 하는 말을 전달하거나 인용하면서 말을 잇는 표현용법:1. 들은 내용을 전달하거나 흔히 하는 말을 인용하면서 자신의 생각이나 질문 등을 이어 말할 때 쓴다. 주로 전달한 내용과 관련한 생각이나 의견, 질문 등이 뒤에 온다. 1-1) 그 사람은 영국 사람이라는데 아랍어도 잘하네. 1-2) 지성이면 감천이라는데 열심히 했으니 잘될 거야. 1-3) 그게 자기 것이 아니라는데 내가 뭐라고 하겠니?2. (문장의 종결형처럼 쓰여 아랫사람에게나 친구와 같이 친한 사이에서) 말하는 사람이 들은 사실을 여운을 남기면서 전달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나타내고자 하는바를 말함을 나타낸다. 2-1) 내일이 내 아들 졸업식이라는데. 2-2) 그 사람 명수 친구라는데? 2-3) 그 사과 준하가.. 2025. 1. 12. [한국어] ‘-라는구나‘ 말하는 사람이 들어 새롭게 안 사실을 상대방에게 옮겨 전할 때 분류: 표현특징: 말하는 사람이 들어 새롭게 안 사실을 상대방에게 옮겨 전함을 나타내는 표현용법:1) (말할 때 아랫사람에게나 친구와 같이 친한 사이에서) 말하는 사람이 들어 새롭게 안사실을 감탄의 느낌을 실어 상대방에게 전하거나 알릴 때 쓴다. 1-1) 그가 영국 사람이라는구나. 1-2) 명수가 천재라는구나. 1-3) 준하 형이 대학생이 아니라는구나.* 결합 정보1. ‘-라는구나‘는 ‘-라는군’으로 줄여 쓸 수 있다. 1-1) 그 키 큰 친구가 중학생이라는군. 1-2) 그 아줌마가 아주 부자라는군. 1-3) 하하가 자기는 바보가 아니라는군. 2025. 1. 12. [한국어] ‘-라는’ 말이나 생각의 내용 등을 옮기거나 나타내면서 뒤에 오는 말을 수식하는 표현 분류: 표현특징: 말이나 생각의 내용 등을 옮기거나 나타내면서 뒤에 오는 말을 수식하는 표현용법:1) 들은 사실을 인용하여 나타내거나 생각하는 내용을 담아 뒤에 오는 말을 수식 한다. 주로 뒤에 ‘생각, 말, 사람‘ 등의 명사가 온다. 1-1) 저 사람이 유명한 작가라는 말을 들었어요? 1-2) 그 사람이 범인이 아니라는 것을 아무도 믿지 않았습니다. 1-3) 언제 어디서든지 우리가 자매라는 사실을 잊지 마.* 결합 정보1) ‘-라는'은 ‘-란‘으로 줄여 말할 수 있다. 1-1) 저 사람이 유명한 작가란 말을 들었어요? 1-2) 그 사람이 범인이 아니란 것을 아무도 믿지 않았습니다. 1-3) 언제 어디서든지 우리가 자매란 사실을 잊지 마. 2025. 1. 12. [한국어] ‘-라네’ 말하는 사람이 알고 있는 사실을 객관하하여 친근하게 알려 줄 때 분류: 종결어미특징: 말하는 사람이 알고 있는 사실을 객관하하여 친근하게 알려 줌을 나타내는 어미용법:1) (일반적으로 말하는 사람이 웬만큼 지위가 있거나 나이가 든 경우 자신보다 아래이거나 허물없는 사이인 상대방을 대접하면서) 알고 있는 사실을 객관화하여 친근하게 알려 줄 때 쓴다. 스스로 감탄하거나 자랑스러워하는 느낌도 나타낸다. 1-1) 내 고향은 철원이라네. 1-2) 사실 내가 진 건 실수 때문이 아니라네. 1-3) 대한민국의 수도는 서울이라네. 1-4) 우리 아이가 반에서 2등이라네. 1-5) 바야흐로 봄이라네. 2025. 1. 12. [한국어] ‘-라기에‘ 다른 사람에게 들은 사실이 이유나 근거임을 나타냄 분류: 표현특징: 다른 사람에게 들은 사실이 이유나 근거임을 나타냄용법:1) 다른 사람에게 들은 사실이 뒤 문장의 행위를 하는 이유나 판단의 근거임을 나타낸다. 1-1) 명수가 내일부터 휴가라기에 같이 놀러 가자고 했어요. 1-2) 아들의 친구라기에 방 안에 들어가서 기다리게 했다. 1-3)생일 선물이라기에 고맙게 받았지. 1-4) 학생이 아니라기에 무슨 일을 히는지 물었다. 2025. 1. 9.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7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