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earning languages/Korean440

[한국어] ‘-밖에‘ 다른 가능성이나 선택의 여지가 없음을 나타내는 조사 분류: 조사특징: 다른 가능성이나 선택의 여지가 없음을 나타내는 조사용법:1. (명사나 부사, 어미 ‘-기’ 등에 붙어) 다른 가능성이나 선택의 여지가 없다거나 그것이 유일하게 선택할수 있는 경우임을 나타낸다. 반드시 뒤에 부정을 나타내는 말이 온다. 1-1) 남은 게 하나밖에 없어요. 1-2) 모임에 세 명밖에 안 왔는데요. 1-3) 시험 시간이 겨우 10분밖에 안 남았어요. 1-4) 음식이 조금밖에 안남았어. 1-5) 그 상황에서는 그렇게밖에 할 수 없었어요. 1-6) 죽기밖에 더 하겠어요?* 심화1. 조사 ‘-만’이 비슷한 의미를 나타내지만 ’-만‘이 긍정문과 부정문에 모두 쓰이는 반면, ’-밖에‘는 주로 부정문에 쓰인다. 또한 조사 ‘-뿐’이 ‘-뿐이다’ 형태로 비슷한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1.. 2025. 3. 12.
[한국어] ‘-며’ 여러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면서 예를 들거나 대등을 나타낼 때 분류: 조사특징: (받침 없는 명사에 붙어) 여러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면서 예를 들거나 대등을 나열하는 조사용법:1. (주로 ‘-며 -며' 구성으로 반복적으로 쓰여) 한 부류로 묶을 수 있거나 서술어와 연관된 여러 사물들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면서 나열할 때 쓴다. 1-1) 아이가 코며 눈이며 제 엄마를 그대로 닮았다. 1-2) 그 건물안에는 스포츠센터며 레스토랑이며 없는 것이 없다. 1-3) 과자며 과일이며 음료수를 잔뜩 준비해 두었다. 1-4) 이번 프로젝트에 동료며 후배들이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1-5) 샴푸며 칫솔 같은 세면도구는 꼭 가지고 가세요.* 심화1. ‘-며’는 같은 기능을 하는 조사 ’다', ‘-니'나 ‘하고’, ‘하며’로 바꿔 쓸 수 있다. 1-1) 그 여자의 생.. 2025. 3. 11.
[한국어] ‘-만큼‘ 비유나 비교의 대상을 나타내는 조사 분류: 조사특징: 비유나 비교의 대상을 나타내는 조사용법:1. 앞말과 비슷한 정도나 한도임을 나타낸다. 1-1) 명수가 재석이만큼 컸다. 1-2) 우리나라만큼 아름다운 곳도 없다. 1-3) 아버지가 널 얼마만큼 사랑하는지 모를 거야. 1-4) 준하가 거기에서도 여기에서 만큼 잘할 것이다. 1-5) 그 사람은 날 눈곱만큼도 생각 안 해요.* 결합 정보1. ‘만큼’ 위 용법에 조사 ‘-은’을 붙여 쓰는 경우가 있는데 모두 잘못된 쓰임으로 ‘-만은’ 형태로 적어야 옳다. 1-1) 부모님에게만큼은 잘해 드리고 싶어요. (x) 1-2) 내 아이만큼은 잘 키울 것이니 교육만큼은 제게 맡기세요. (x) 1-3) 오늘만큼은 집에서 쉬고 싶다. (x) 1-4) 전 술만큼은 좋은 것을 마셔요. (x) 1-5) .. 2025. 3. 11.
[한국어] ‘-만치‘ 비유나 비교의 대상을 나타내는 조사 분류: 조사특징: 비유나 비교의 대상을 나타내는 조사용법:1. 앞말과 비슷한 정도나 한도임을 나타낸다. 1-1) 난 언제쯤이면 명수만치 키가 클까? 1-2) 재석이만치 착한 애도 없다. 1-3) 그만치 사랑은 아름다운 거야. 1-4) 준하가 거기에서도 여기에서만치는 할 것이다. 1-5) 그 사람은 날털끝만치도 사랑 안 해요. 2025. 3. 5.
[한국어] ‘-만은’ 특정한 한 대상을 반드시 한정함을 나타내는 표현 분류: 표현특징: 특정한 한 대상을 반드시 한정함을 나타내는 표현용법:1. 다른 대상은 배제하고 반드시 특정한 한 대상을 한정함을 강조할 때 쓴다. 1-1) 너만은 나를 이해해야 돼. 1-2) 라면만은 먹지 않겠습니다. 1-3) 그가 먼저 시작한 것만은 사실이야. 1-4) 너에게만은 거짓말을 하지 않았어. 1-5) 그 사람이 도둑질을 하고 싶어서 한 것만은 아닐 거야. 1-6) 너는 나를 이해해야 돼. 1-7) 라면은 먹지 않겠습니다. 1-8) 그가 먼저 시작한 것은 사실이야. 1-9) 너에게는 거짓말을 하지 않았어. 1-10) 그사람이 도둑질을 하고 싶어서 한 것은 아닐 거야.* 심화1. ‘만'과는 다소 의미 차이가 있으므로 구별해야 한다. 1-1) 너만 나를 이해해야 돼. 1-2) 라면만 먹지 않.. 2025. 3. 5.
[한국어] ‘-만 아니면’ 어떤 피할 수 없는 조건이나 이유임을 강조할 때 분류: 표현특징: 어떤 피할 수 없는 조건이나 이유임을 강조하는 표현용법:1. 어떤 피할 수 없는 조건이나 이유임을 강조할 때 쓴다. 즉 어떤 경우나 상황 때문에 무엇을 하거나 하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1-1) 공부만 아니면 여행을 떠날 텐데.. 1-2) 너만 아니었으면 참지 않았을 것이다. 1-3) 내가 맏이만 아니라면 어디로든 이민을 떠났을 거야. 1-4) 그녀만 아니면 나는 세상에 없을 거야. 1-5) 그만 아니면 행복할 텐데.. 2025.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