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earning languages/Korean411

[한국어] 문장 연결 어미의 종류(3) 순서 안녕하세요? 오늘은 문장 연결 어미의 종류 가운데 세 번째, 시간 순서의 의미를 갖는 연결어미, ‘-고/-아서/-어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두 문장을 순서의 의미로 이어주는 연결 어미에는 ‘-고,-아서/-어서’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이 어미들은 시간적으로 앞 문장의 행위가 먼저 일어난 후에 뒷 문장의 행위가 일어나는 문장을 이어줄 때 씁니다. 1) 순서의 의미를 갖는 연결어미들은 앞의 내용과 뒤의 내용이 시간적으로 차례대로 일어난 것임을 알려줍니다.1-1) 무한도전 팀은 저녁을 먹고 집에 갔다.1-2) 호동이는 모자를 벗어서 옷걸이에 걸어 두었다.위 예문에서 앞의 문장에 있는 내용은 뒷 문장의 내용보다 시간적으로 앞섭니다. 1-1)에서는 저녁을 먹은 것이 집에 간 것보다 먼저 일어난 일이고, 1-2).. 2024. 5. 13.
[한국어] 문장 연결 어미의 종류(2) 동시 발생 동시 발생의 의미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어미: -(으)면서, -(으)며, -자, -자마자1) 두 문장이 동시에 발생했을 경우 사용하는 연결어미로 ‘-(으)면서, -(으)며’가 있습니다. 이것은 두 가지 이상의 동작이 한꺼번에 일어났을 경우 사용합니다.1-1) 형님들은 저녁을 같이 먹으면서 이야기를 했다.1-2) 재석이는 운동을 하면서 노래를 들었다.1-3) 우리는 커피를 마시면서 회의를 했다.1-4) 우리는 커피를 마시며 회의를 했다.위의 예 1-1)은 저녁을 먹는 것과 이야기를 하는 것이 동시에 일어났다는 의미이고, 1-2)은 운동을 하는 것과 노래를 듣는 것이 동시에 일어났다는 의미입니다. 1-3)과 1-4)에서 보는 것처럼 ‘-(으)면서’는 ‘-(으)며’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2) ‘-(으)면서’.. 2024. 5. 12.
[한국어] 문장 연결 어미의 종류(1) 나열 문장 연결 어미? 문장 연결 어미는 문장의 구성원소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연결 어미 분류 방법? 연결어미의 분류는 ’의미적 분류‘와 ’형태 혹은 통사적 분류‘의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의미적 분류: 앞뒤 문장이 어떠한 의미 관계로 이어지는기를 바탕으로 한 분류법 2) 형태 혹은 통사적 분류: 형태적인 부분, 즉 과거시제와 결합할 수 있는가 명령문과 함께 쓰일 수 있는가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한 분류법 의미적 분류법을 바탕으로 한 연결어미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연결어미는 연결되는 문장들 사이의 의미 관계에 따라 대략 12가지의 의미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나열 할 때: -고, -(으)며 2) 시간(동시 발생): -(으)면서, -자, -자마자 3) 시간(순서): -고, -아서/-.. 2024. 5. 11.
[한국어] 문장과 문장 연결 안녕하세요? 지난 시간 단문과 복문에 대해 기본적인 것들을 배웠었는데요 오늘은 문장과 문장을 어떻게 연결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문장과 문장은 어떻게 연결할까요?영어와 같은 언어는 두 문장 이상을 연결해 하나의 문장을 만들 때 'and, but'과 같은 단어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지만, 한국어에서는 한 문장 안에서 ‘그리고, 그러나‘와 같은 말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연결어를 아예 사용할 수 없다는 의미가 아니라 사용할 경우에 한 문장이 아니라 두 문장이 된다는 의미입니다.한국어에서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만들고자 할 때는 연결어미를 사용해야 합니다.예를 들어1) 눈이 온다. 그리고 바람이 분다.2) 눈이 오고 바람이 분다.3) 재석이는 촬영을 하느라 바쁘다. 그래서 오늘은 카페.. 2024. 5. 9.
[한국어] 단문과 복문 한국어에서는 단문과 복문이라는 두 가지 주요한 문장 유형이 존재합니다. 이 두 가지 문장 유형은 서로 다른 구조와 용법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데에 중요합니다.단문이란?단문은 하나의 주어와 동사로 이루어진 간단한 문장으로, 주로 간단한 사실을 전달하거나 짧은 이야기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일상적인 대화나 간단한 설명에서 많이 사용됩니다.단문의 특징1) 간결한 구조: 주어와 동사로 이루어져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직관적입니다.2) 짧은 길이: 주로 한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어 길이가 짧습니다.3) 간단한 사실 표현: 주로 간단한 사실을 표현하거나 짧은 이야기를 전달하는 데에 사용됩니다.예를 들어1) 재석이는 밥을 먹었다. 2) 하하는 학교에 갔다.3) 준하는 책.. 2024. 5. 8.
[한국어] 부정문의 모든 것 한국어에서 문장의 종류는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 부정문으로 나누어집니다. 오늘은 부정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부정문이란?부정이라는 말은 부정 부사나 부정의 뜻이 들어있는 어휘적 요소 등을 사용하여 문장(긍정문)의 명제적 의미를 반대로 바꾸는 것입니다. 부정문은 의미상 부정적인 내용을 나타내는 문장으로,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부정문의 유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1) ‘안’ 부정문: 부정 부사 ‘아니(안)’나 ‘-지 아니하다(않다)’를 포함한 부정문으로 의지, 상황, 능력, 불급 등 특별한 의미가 없는 평범한 부정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주체의 의지에 의해 어떤 행위를 하지 않을때도(의지 부정) ‘안’ 부정법이 쓰입니다. 이때 주어는 의지를 가질 수 있고 서술어가 행위.. 2024. 5.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