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earning languages534

[한국어] ‘-는다는구나’ 말하는 사람이 들어 새롭게 안 사실을 상대방에게 옮겨 전함을 나타내는 표현 분류: 표현 특징: (동사에 붙어) 말하는 사람이 들어 새롭게 안 사실을 상대방에게 옮겨 전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어미 ‘-는다’, 인용의 ‘고’, 동사 ‘하다’의 활용형 ‘하는구나’가 함께 쓰인 ‘는다고 하는구나’의 줄어든 표현용법: 1) (말할 때 아랫사람에게나 친구와 같이 친한 사이에서) 말하는 사람이 들어 새롭게 안 사실을 감탄의 느낌을 실어 상대방에게 전하거나 알릴 때 사용합니다. 1-1) 명수가 오늘 유학을 간다는구나. 1-2) 내일 정전이 된다는구나. 1-3) 재석이가 지금 준하를 찾는다는구나. * 결합 정보 1) ‘-는다는구나’는 ‘-는다는군’으로 줄여 쓸 수 있습니다. 1-1) 부장님께서 내일 출장을 가신다는군. 1-2) 하하는 날마다 늦게 잔다는군. 1-3) 홍 선생님은 패스 연습을 많.. 2024. 9. 13.
[한국어] ‘-는다는 것이‘ 의도는 했는데 의도와 달리 다른 결과가 나왔을 때 분류: 표현 특징: (동사에 붙어) 의도는 했는데 의도와 달리 혹은 실수로 다른 결과가 나왔을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어미 ‘-는다’와 인용의 ’고‘, 동사 ’하다‘의 활용형 ’하는‘에 의존명사 ’것‘, 조사 ’이’가 함께 쓰인 ‘-는다고 하는 것이’의 줄어든 표현용법: 1) 앞의 행동에서 의도한 것과는 다른 결과가 뒤에 나올 때 씁니다. 1-1) 패스를 한다는 것이 슛을 해버렸어요. 1-2) 음식에 설탕을 넣는다는 것이 후추를 넣었어요. 1-3) 사과를 먹는다는 게 그만 무조각을 집 었어요. ®은 설탕을 넣으려고 했는데 처음 의도와 달리 또는 실수로 소 2024. 9. 13.
[한국어] ‘-는다는’ 말이나 생각의 내용 등을 옮기거나 나타내면서 뒤에 오는 말을 수식하는 표현 분류: 표현 특징: (동사에 붙어) 말이나 생각의 내용 등을 옮기거나 나타내면서 뒤에 오는 말을 수식하는 표현으로 어미 ‘-는다’, 인용의 ‘고’, 동사 ‘하다’의 활용형 ‘하는’이 함께 쓰인 ‘-는다고 하는’의 줄어든 표현용법: 1) 들은 사실을 인용하여 나타내거나 생각하는 내용을 담아 뒤에 오는 말을 수식 합니다. 주로 뒤에 ‘생각, 말,사람‘ 등의 명사가 옵니다. 1-1) 죽는다는 사람 그냥 놔 둬라. 1-2) 어렸을 때부터 좋은 버릇을 길러야 한다는 말이 있다. 1-3) 나는 우리가 용서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1-4) 굳이 떠난다는 걸 낸들 어떻게 하겠어요. * 결합 정보 1) ‘-는다는’은 ‘-는단’으로 줄여 말할 수 있습니다. 1-1) 죽는단 사람 그냥 놔둬라. 1-2) 어렸을 때부.. 2024. 9. 13.
[한국어] ‘-는다네‘ 알고 있는 사실을 객관화하여 친근하게 알려줄 때 분류: 종결어미 특징: (동사에 붙어) 말하는 사람이 알고 있는 사실을 객관화하여 친근하게 알려줌을 나타내는 어미 용법: 1) (일반적으로 말하는 사람이 웬만큼 지위가 있거나 나이가 든 경우 자신보다 아래이거나 허물없는 사이인 상대방을 대접하면서) 알고 있는 사실을 객관화하여 친근하게 알려 줄 때 씁니다. 스스로 감탄하거나 자랑스러워하는 느낌도 나타냅니다. 1-1) 우리 부부는 매일 아침 지리산에 오른다네 1-2) 나는 자네가 이 일을 꼭 해내리라 믿는다네. 1-3) 한국 사람은 식사할 때 김치가 꼭 있어야 한다네. 1-4) 장인어른도 잘 지내신다네. 걱정 말게. 1-5) 우리 아이가 이제는 드럼을 곧 잘 친다네. 1-6) 바야흐로 가을 달빛이 무르익는다네. 2024. 9. 13.
[한국어] ‘-는다기에’ 다른 사람에게 들은 사실이 이유나 근거일 때 분류: 표현 특징: (동사에 붙어) 다른 사람에게 들은 사실이 이유나 근거임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어미 ‘-는다’와 인용의 ‘고’, 동사 ‘하다’의 활용형 ‘하기에’가 함께 쓰인 ‘-는다고 하기에’의 줄어든 표현용법: 1) 다른 사람에게 들은 사실이 뒤 문장의 행위를 하는 이유나 판단의 근거임을 나타냅니다. 1-1) 재석이가 제주도로 여행 간다기에 나도 함께 가자고 했어요. 1-2) 명수가 이 프로그램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기에 다른 것을 추천해 주었어요. 1-3) 뮤지컬 주연 배우를 뽑는다기에 준하는 무작정 연출자에게 전화를 걸었다. 2024. 9. 13.
[한국어] ‘-는다고’ 자신의 말이나 상대방의 말을 반복해 언급하거나 강조할 때 분류: 종결어미 특징: (동사에 붙어) 친구나 아랫사람에게 쓰여 말하는 사람이 자신의 말이나 상대방의 말을 반복해 언급하거나 강조하며 말할 때 쓰는 어미용법: 1) 자신의 말을 되풀이하거나 생각을 강조할 때 씁니다. 1-1) 딸: 이번 주말에 등산 가신다면서요? 어디로가세요? 아버지: 태백산에 좀 가려고. 딸: 네? 어디에 가신다고요? 아버지: 태백산, 태백산에 간다고. 1-2) 그 사람은 아무리 돈이 없어도 그런 일은 안 해. 절대 안 한다고. 1-3) 밥 먹으라고? 나는 밥 생각이 전혀 없어. 안 먹어, 안 먹는다고. 2) 다른 사람의 말을 확인하거나 따져 물을 때 씁니다. 주로 앞서 상대방이 한 말을 옮겨와 다시 되묻는 것이며 이때 말 끝은 올립니다. 2-1) 뭐라고? 그 사람이 일을 잘 한다고? .. 2024. 9.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