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earning languages534

[Deutsch] Gesprächsmuster üben(22-24) 24. Es ist leicht … (It is easy …) • Es ist leicht, Deutsch zu lernen. → It is easy to learn German. • Es ist leicht, über andere zu urteilen. → It is easy to judge others. • Es ist leicht, zu reden. → It is easy to talk. • Es ist leicht, wegzuschauen. → It is easy to look away. • Es ist leicht, aufzugeben. → It is easy to give up.25. Es ist schwer … (It is difficult …) • Es ist schwer, das zu s.. 2025. 2. 10.
[한국어] ‘-로‘ 이동의 방향, 도구나 수단, 재료, 변화의 방향, 자격이나 신분, 이유나 원인임을 나타내는 조사 분류: 조사특징: 이동의 방향, 도구나 수단, 재료, 변화의 방향, 자격이나 신분, 이유나 원인임을 나타내는 조사용법:1. (장소나 방향을 뜻하는 명사에 붙어) 그 지점이나 방향을 목적지로 하거나 그곳을 통하여 이동하거나 향함을 나타낸다. 1-1) 이번 휴가는 어디로 갈까요? 1-2) 일이 끝나면 길 건너에 있는 카페로 오세요. 1-3) 취직하기 위해 서울로 올라오는 사람들이 많다. 1-4) 사장실에 가려면 아래로 내려가세요. 1-5) 14번 출구로 나오세요. 1-6) 선수의 허리가 뒤로 휘어 있다. 1-7) 본관 뒤로 생활관이 있다. 1-8) 이쪽 길로 가면 빨리 갈 수 있어. 1-8) 횡단보도로 건널 때는 차가 완전히 멈추었는지 확인해야 해. 1-9) 어린이집 버스는 아파트 단지 내로 지나갑니다.. 2025. 2. 10.
[한국어] ‘-래야’ 앞 문장 내용이 뒤 문장 내용의 조건임을 나타내는 표현 분류: 표현특징: 앞 문장 내용이 뒤 문장 내용의 조건임을 나타내는 표현용법:I. 앞 문장의 말이나 상황이 뒤 문장의 행동을 하게하는 조건임을 나타낸다. 1-1) 꼭 밥이래야 먹는데. 재석이는 국수를 싫어하잖아. 1-2) 반드시 그 사람이래야 결혼할 수 있다는 생각은 버려야 해.2. 어떤 상황을 가정하거나 인정하여 그것이 별로 심각하거나 어려운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2-1) 제가 가진 것이래야 집 두 채가 전부예요. 2-2) 그 사람 잘못이래야 열심히 공부한 것 밖에 없지요. 2-3) 음료수래야 얼음 넣은 물 한 잔뿐이에요. 2025. 2. 10.
[한국어] ‘-래서야‘ 어떤 사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거나 부정적으로 판단함 분류: 표현특징: 듣거나 알게 된 어떤 사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거나 부정적으로 판단함을 나타내는 표현용법:1. 다른 사람의 말을 들어 알게 된 어떤 사실에 대해 강력하게 의문을 제기하거나 부정적으로 판단할 때 쓴다. 1-1) 모두들 자기가 최고래서야 제대로 화합이 될 수 없다. 1-2) 그 착한 명수를 나쁜 놈이래서야 누가 믿겠어? 1-3) 죄를 좀 지었다손 치더라도 동생을 동생이 아니래서야 되겠소? 2025. 2. 10.
[한국어] ‘-래서’ 앞서 들어 알고 있는 사실을 이유나 근거로 다음 행위나 말을 이끌어 감 분류: 표현특징: 앞서 들어 알고 있는 사실을 이유나 근거로 다음 행위나 말을 이끌어 감용법:1. 다른 사람의 말이나 어떤 사실을 듣고 그래서 다음 행위를 한다거나 들은 느낌이 어떠하다는 것 등을 나타낸다. 1-1) 맛있는 볶음밥이래서 너무 많이 먹었나 봐. 1-2) 학생이래서 공부만하라는 것은아니야. 1-3) 준이가 축구선수래서 믿었더니 연신 헛발질이야. 2025. 2. 7.
[한국어] ‘-래도’ 어떤 상황을 제시하거나 가정하지만 그 상황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과 반대될 때 분류: 표현특징: 어떤 상황을 제시하거나 가정하지만 그 상황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과 반대될 때용법:1. 앞서 어떤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을 가정하거나 실제 상황을 제시하지만 그와 반대되거나 관계없는 결과나 상황이 이어짐을 나타낸다. 극단의 상황을 제시, 가정하여 뒤 문장의 내용을 강조하기도 한다. 1-1) 동생이 아직 고등학생이래도 친구들이 술을 마시라고 권했다. 1-2) 어머니가 제일 좋아하시는 과일이 감이래도 굳이 사과를 사 온 이유가 뭐니? 1-3) 누가 뭐래도 결코 고향을 떠나지 않겠다. 1-4) 아무리 그게 사실이 아니래도 나는 당신을 믿습니다. 2025.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