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만담90

[다이어트] 칼로리 처방법 실제 예시 다이어트를 결심하셨나요?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아래 몇 사람의 칼로리 처방 예시를 보여드립니다. 참고하셔서 여러분 각자도 적용해 보세요. 참고로 처방 내용에 있는 칼로리는 하루 먹어야 할 칼로리를 말합니다.1st Case성명: 김고은성별: 여나이: 20세키: 165cm체중: 70kg내용: 식습관 개선을 통한 단기 다이어트를 원함비만도: 현재체중 / 표준체중 x 100(%) = 70 / 57 x 100 = 122.8(비만)표준체중: 키 x 키 x 21 = 1.65 x 1.65 x 21 = 57처방내용:엄격한 다이어트 타입의 칼로리 처방이 좋을 것으로 생각 됨. (표준체중 x 활동도에 따른 단위 체중당 필요 에너지) - 500kcal = 57 x 25 - 500 = 925 kcal2nd Cas.. 2025. 1. 23.
[다이어트] 나에게 맞는 목표 설정 방법 다이어트에 앞서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표준체중은 건강과 외모를 유지하는데 적절한 체중으로 한국의 경우 체질량 지수(MBI)에 따라 남자는 22, 여자는 21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기준을 사용하야 표준체중을 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남자 = 키(m) x 키(m) x 22여자 = 키(m) x 키(m) x 21예를 들어, 키가 160cm인 여성의 표준 체중은 1.6 x 1.6 x 21 = 53.76kg 입니다. 만약 당신의 체중이 60kg이라면 목표 체중을 표준 체중인 53.76kg으로 설정할 수 있다.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자신의 식습관을 체크하고 개선해야 할 부분을 살펴보는 일이다. 다이어트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먹는 것이기 때문이다. 자신의 식습관을 객.. 2025. 1. 23.
[야구] 베이스 러닝의 모든 것 야구에서 도루를 하거나 후속 장타 또는 아웃이 발생했을 때 한 베이스를 더 가고 못 가는 것은 순전히 선수 자신의 능력에 달려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루에는 선수의 마음가짐과 기술 그리고 스피드가 성공여부를 좌우하는데 이런 것들은 슬럼프 없이 항상 일정하다. 베이스 러닝은 가장 직감이 요구되는 기술이다. 위대한 주자는 선천적으로 타고나야 하며 후천적으로 능력을 계발 한다하더라도 야구를 배우기 시작하는 초기에 올바른 지도를 받아야 효과가 있다. 언제는 뛰어야 하고 언제는 뛰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말로는 누구에게나 쉽게 한다. 그러나 순간적인 상황 포착 및 정지 상태에서 첫 걸음 부터 곧바로 전력질주 할 수 있는 순발력 등의 기술은 애당초 천부적으로 타고나지 않으면 몇 년씩 훈련 한다 해도 별로 발전이 없.. 2025. 1. 21.
[아재개그] 재미있는 아재개그 모음집 아재개그 모음 바로 시작합니다!1) 사자로 국을 끓이면?동물의 왕국2) 엄마가 동생편만 드는 세상은?형편없는 세상3) 석유가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은?오일4) 할아버지가 좋아하는 돈은?할머니5) 미국에서 비가 내리면?USB6) 싸움을 제일 잘하는 오리는?을지문덕7) 밤하늘에 떠다니는 유성이 부리는 마술은?유성매직9) 세종대왕이 먹는 우유는?아야어여오유우유10) 딸기가 직장을 잃은면?딸기시럽11) 왕이 궁을 가기 싫을 때 하는 말은?궁시렁궁시렁12) 정삼각형의 동생 이름은?정삼각13) 사람이 항상 가지고 다니는 흉기는?머리칼14) 용이 하늘로 올라간다응 4글자로 줄이면?올라가용15) 동생이 형을 매우 따르는 걸 3글자로 줄이면?형광펜16) 덜 뚱뚱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동네는?반포동17) 남 등쳐먹고 사는.. 2025. 1. 20.
[초등수학] 다시 살펴보는 곱셈 “같은 수의 더하기” 만일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에게 ‘3+3+3+3+3+3+3+3+3+3’을 하라고 하면 앞에서부터 하나 하나 계산하는 아이는 몇 없을 것이다. 곱셈이 같은 수의 더하기임을 아는 아이라면 당연히 3이 10개 더해져 있으므로 ‘3x10=30‘이라고 암산으로 풀었을 것이다. 이렇개 곱셈은 같은 수위 더하기가 귀찮아서 빨리 하려고 만들어진 것이다. 곱셈(x)은 같은 수의 더하기가 귀찮아서 만들어진 것!곱하기를 같은 수의 더하기로 바꾸는 연습을 하자.초등학교에서는 같은 수의 더하기를 곱하기로 만드는 것을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반대로 곱하기를 같은 수의 더하기로 바꿔보는 것은 많이 하지 않는다. 이것이 나중에 고등 수학에 가면 더욱 중요하고 많이 사용되기때문에 이것을 초등학교에서부터 연습을 많이 하는 것이.. 2025. 1. 19.
[초등수학] 다시 살펴보는 덧셈 “기준이 같아야 더한다” 아마도 처음 수학을 배우면서 제일 먼저 하는 것은 수를 세는 일이고, 그 다음으로 한 것이 더하기일 것이다. 대부분의 부모는 더하기는 무엇이라고 설명하면서 가르치지 않는다. 아이가 경험적으로 먼저 체험하고(예를 들어, 블럭 1개 위에 1개를 쌓으니 큰 블럭이 되었다 혹은 과자 1개를 받은 후에 2개를 더 받으니 더 많은 과자들이 되었다), 더하기라는 것이 무엇인가 “모은다”는 개념을 익히게 된다. 이후에 초등학교 3-4학년이 되면서 문장에 “합한다, 커진다, 모은다” 등의 말이 있으면 자연스럽게 더하기(+) 기호를 사용하여 식을 만들 수 있게 된다.그런데 한 가지 중요한 개념을 처음에 추가하면 아이의 사고에 크게 도움이 될 것 같다. 그것은 바로 + 기호를 더하라는 “명령 기호”라고 설명해주는 것이다. .. 2025. 1. 19.